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적_4324_종교와 역사의 교차점 실크로드 (금강학술총서 21)(금강대 불교문화연구 저)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소비자가 35,000원
판매가 31,500원
상품코드 P0000PCT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서적_4324_종교와 역사의 교차점 실크로드 (금강학술총서 21)(금강대 불교문화연구 저)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이벤트

WISH PRODUCT LIST

서적_4324_종교와 역사의 교차점 실크로드 (금강학술총서 21)(금강대 불교문화연구 저)

저자: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지음
출판사:민족사
발행일:2014년 12월 30일 출간
페이지수 & 크기:466쪽/160*233mm
ISBN:9788998742416(8998742411)

[책소개]
이 책 “역사와 종교의 교차점, 실크로드”는 간다라에서 출발한 불교가 실크로드를 거쳐 동아시아에 이르는 동안 어떠한 변모를 거쳤는지 조명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불교’의 문제만을 거론해서는 ‘불교의 변화’가 되는 주변 배경의 문제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인문한국(HK)연구센터에서는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교가 전해지던 주요 통로인 실크로드 그 자체와 주변에 대한 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판단에 의거하여, 실크로드와 그 주변의 역사와 종교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시선들을 담는 작업의 일환으로, 중국 시안에서 섬서사범대학陝西師範大學 중국서부변강연구원中國西部邊疆硏究院과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한 후 그 결과물을 담은 것입니다.
[서평]
1. 간행사

실크로드, 그것은 문화교류와 문화융합을 상징하는 단어입니다. 그것은 본래 지리적으로 오늘날 중국의 서쪽 변경 지대와 인도 및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좁은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좁은 지리적 공간이 인도와 중국 그리고 유럽을 연결하는 중요한 가교架橋였고, 그 교역의 가교를 통해서 유라시아의 모든 문화가 교류되고 융합되었습니다. 실크는 그 교역로를 상징하는 물품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해로海路를 비롯하여 동서東西를 연결하는 다양한 교역로가 개발되었고, 이제는 동서 간의 교역이 이루어지는 모든 루트를 통틀어서 실크로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불교인들은 오늘날의 파키스탄 간다라 지역에서 중국의 시안西安에 이르는 길, 곧 보통 좁은 의미의 실크로드를 달리 붓다루트(Buddha Route) 혹은 다르마로드(Dharma Road)라고도 부릅니다. 그 길을 따라서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고, 다시 동아시아 사회 전체로 전파되었기 때문입니다. 인도와 서역 각지에서 중국으로 들어온 전법승傳法僧들과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지로부터 인도로 불교의 새로운 가르침을 구하러 갔던 구법승求法僧들이 인도의 불교를
중국에 전했던 주역이었습니다. 그들은 길조차 제대로 없는 험난한 히말라야산맥과 뜨겁게 불타오르는 사막을 죽음을 무릅쓰고 건너야 했습니다. 동서교역로를 통해서 전해진 대표적인 상품을 이야기한다면 아무래도 비단(silk)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동서교역로를 통해서 전해진 대표적인 문화를 이야기한다면 역시 불교가 될 것입니다. 불교는 이 길을 통해서 약 천년 동안 인도로부터 중국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리고 동아시아 에 전파
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사회는 불교가 전해지던 천 년에 걸쳐 그 사상과 문화에 있어서 일대
변화를 거치며 새로운 사상과 문화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 “역사와 종교의 교차점, 실크로드”는 간다라에서 출발한 불교가 실크로드를 거쳐 동아시아에 이르는 동안 어떠한 변모를 거쳤는지 조명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불교’의 문제만을 거론해서는 ‘불교의 변화’가 되는 주변 배경의 문제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인문한국(HK)연구센터에서는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교가 전해지던 주요 통로인 실크로드 그 자체와 주변에 대한 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판단에 의거하여, 실크로드와 그 주변의 역사와 종교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시선들을 담는 작업의 일환으로, 중국 시안에서 섬서사범대
학陝西師範大學 중국서부변강연구원中國西部邊疆硏究院과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한 후 그 결과물을 담은 것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과 함께 실크로드를 조명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물을 한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간행
해나갈 예정입니다. 이 정기 학술대회를 통해서 축적되는 성과물들이 아직은 다양한 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이 분야의 연구를 한층 더 성숙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2014년 12월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소장 권탄준
2. 편집자 개요

실크로드(SilkRoad)가 동서교류의 장場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관해서는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문물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사상사思想史와 문화사文化史의 측면에서는 역사상 가장 역동적인 교류의 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실크로드와 관련하여 실로 여러 분야에서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정치·경제사뿐만 아니라 역사·철학·문화적 분야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졌다. 이 같은 실크로드의 특성은 학문적 연구에도 그대로 전이되어 각각의 분야가 독자적으로 발전하기보다는 서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발전해 왔다. 다시 말해서 교류의 역사이기 때문에 현대 학문에서도 새로운 교류, 즉 융합학문의 성격을 띠며 발전해 온 것이다. 불교학에서도 실크로드는 불교 역경사譯經史·교류사交流史 및 발전사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헌 자료의 한계라는 벽에 부닥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실크로드 연구와 관련하여 불교학 내부에서도 움직임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돈황사본燉煌寫本 연구가 활발해지는 것을 비롯해 초기 중국불교의 연장선 혹은 인도불교사 의 연장선에서 접근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실크로드의 불교를 재조명再照明하고 있
다. 특히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인문한국(HK)연구사업단에서는 돈황사본에 대한 연구, 실크로드의 불교발전사, 문화에 대한 고찰, 실크로드 지역 발굴 사본과의 연계성, 주변 불교문화와의 비교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실크로드와 불교’의 관련 연구 에서는 국내 연구기관 가운데 가장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현재 중국령에 속해 있는 실크로드 일부 지역에 대한 연구진행은 국내의 연구 만으로 충족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2012년, 중국의 서북지역에 대한 연구를 총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섬서성陝西省 시안西安에 위치한 섬서사범대학陝西師範大學 중국서부변강연구원中國西部邊疆硏究院과 협약하여 실크로드에 대한 조사 및 공동 연구, 연구 성과의 공유를 약속하였다. 중국서부변강연구원은 실크로드 민족학을 중심으로 역사, 문화,
종교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곳으로 현재 중국 내에서 중국 서북지역에 대한 학문적 고찰의 연구 성과가 가장 많이 축적된 곳이라 할 수 있다. 2012~2013년의 기간 동안 역사와 종교에 관해 집중적으로 공동 연구를 진행한 끝에 2014년 3월 섬서사범대학에서 ‘역사와 종교의 교차점, 실크로드’라는 대주제 하에 양국의 학자들이 모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기에 이르렀다. 실크로드상에 나타나는 교류의 역사, 민족의 역사, 불교의 전개양상, 사본에 대한 접근 등 다양한 주제로 여러 학자들의 발표가 있었고,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평이 이루어졌다. 학술대회 직전, 중국정부가 국가차원에서 실크로드 경제
지대와 발전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기 때문에 더욱 고무된 분위기속에서 학술대회가 진행되었다. 학술대회에서는 2편의 기조강연과 17편의 세부 주제가 발표되었다. 모두 실크로드의 역사와 종교에 대한 연구 성과이면서 동시에 실크로드의 현재와 미래지향 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 성과였다. 때문에 편집에 있어 학술대회의 기본 취지에 부합 하는 기준이 적절히 세워졌는데, 그 편집 의도와 기준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양국에서는 각각 정병조 금강대학교 총장과 쪼우 웨이쪼우周偉洲 섬서사 범대학 명예교수가 기조강연을 하였다. 기조강연을 하신 두 분 교수님은 십수 년 전부터 이미 학문적인 교류를 가져 왔다. 한국에서 최초로 실크로드를 횡단했던 정병조 총장님은 그동안 실크로드 불교와 관련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는데, 그간의 연구 성과를 이번 기조강연문인 「실크로드와 동아시아 불교」에서 총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동아시아불교에서 ‘서역불교’가 가지는 의미에 대한 통찰을 정리해 주셨다. 한편, 실크로드를 동서남북으로 횡단하며 중국의 민족학을 이끌고 있는 쪼우 웨이쪼우 교수님은 실크로드와 새로운 「실크로드 경제지대」의 구축을 통해 실크로드 역사 속에서 경제·무역 등의 전례를 찾아 현대 실크로드의 문화·경제적 발전의 현재상과 미래상을 전망하고있다. 두 편의 기조강연 원고를 시작으로, 제1편에서는 초기 실크로드와 불교의전파, 제2편에서는 실크로드와 중국 초기불교, 제3편에서는 실크로드, 문화적다양성, 제4편에서는 실크로드, 근현대기의 새로운 전망이라는 주제로 각 발표원고를 나누었다. 1편과 2편에서는 실크로드와 불교에 대한 논의를 모았고, 3편에서는 광범위한 실크로드를 배경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의 내용들을
모았다. 마지막 4편에서는 역사 속에서 끝나는 학문이 아닌 현대사회에서 실크로드가 갖는 의미를 조망하는 장으로 엮었다.
제1편 초기 실크로드와 불교의 전파에는 총 4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첫번째는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원장인 왕씬王欣 교수의「고창명승집고찰(高昌名僧?[考)」 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신강성 투르판 지역의 불교에 관해 언급했는데 역사적 고증을 통해 중국 초기 불교전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사실, 그리고 불교가 동서의 쌍방향으로 융합되는 대표적 장소가 바로 투르판 지역이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두 번째는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석길암 HK교수의 「화엄경의 편집·유통과 호탄(Khotan)」이다. 『화엄경』 편집자들이 특정한 정치사회적 변화 양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이를
전제로 과연 호탄을 『화엄경』 편집지로 단정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관해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세 번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한지연의 「『현겁경』을 기반으로 한 초기 서역 불교 수행체계에 관한 고찰-서역의 현겁신앙 전개 양상을 바탕으로-」에서는 서북인도부터 서역 지역에 이르는 수행 및 신앙의 이면에 『현겁경』이 존재했을 가능성과 부파와 대승불교의 수행 행태가 혼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의 우홍린?Q洪琳 선생은 「양주凉州·평성平城과 불교」에서 중국 북위 시대 양주와 평성이 종교적 요인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양주불교가 북위불교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정치사와 문화사 측면에서 접근하여 밝히고 있다. 제1편에서는 주로 불교전파의 문제를 실크로드 각 지역의 역사, 민족,문화 등과 관련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제2편 실크로드와 중국 초기불교에서는 전파된 불교가 중국에서 정착하는 과정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였다.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의 김성순 선생은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의승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을 통해 고대 인도 원시의학인 아유르베다와 중국 한의학을 흡수하면서 생겨난 불교의학을 행하는 의승의 전통이 실크로드-중국-한국 까지 이어오게 되는 역사적 사실을 밝힘으로써 그간 학계에서 접근하기 어려웠던 분야를 소개하고 있다. 두 번째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한샹?[香 부교수는 「위진남
북조 시대 중앙아시아 역경승의 중국 내지에서의 활동 (魏晋南北朝?[期中?Q ?[?Q僧 在? [地的活?Q)」에서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까지 활동했던 역경승들의 출신지, 중국 내에서의 활동지, 주요 역경사업 등에 관한 세세한 연구를 통해 시기별로 역경의 특성을 밝혔다. 또한 역경의 중심지가 시기별로 이동되는 양상을정치·경제사 등을 통해 밝힘으로써 중국 초기 역경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세 번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최은영 교수는 「인도에서 중국으로 반야신앙의 교통로, 실크로드 -승전 僧傳과 역경록譯經錄의 기록을 중심으로-」를 통해 실크로드 전역에서 이루어졌던 반야
신앙에 대해 각 사서류와 불교전적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그간 학계에서 불교 신앙에 대한 깊은 논의가 미비했고, 더욱이 반야신앙이라는 새로운 용어의 제안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정광훈 선생의 「영남대학교도서관 소장 돈황사본 『大般涅槃經』 卷第三과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비교연구」에서는 그간 연구가 미비했던 『대반열반경』 권제3에 관해 각 판본을 정밀하게 비교분석함으로써 돈황사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문을 열었다 할 수 있다. 이상 4편의 논문을 통해 실크로드를 거쳐 전파된 불교가 동아시아에서 정착하는 과정을 여러 방면으로 볼 수 있다.
제3편 실크로드, 문화적 다양성에서는 과거 실크로드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문화 의 모습을 담고 있다. 첫 번째,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황순일교수는 「감숙성 경천현 서왕모 석굴의 약샤(yaksha)상」에서 실크로드상에 위치한 돈황과 당나라 수도 장안을 잇고 있는 경천현의 불교 유적지 가운데 특히 서왕모석굴에서 인도 전역과 동남아시아 그리고 북방의 불교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근거를 찾아냈다. 황 교수는 논문을 통해 북방과 남방 의 교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실크로드 문화를 범아시아적 관점으로 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두 번째는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양동위?[?Q宇 선생의 「중고中古 시기 아랍, 페르시아 및 중국의 사향麝香 이용 비교 연구(中古?[期阿拉伯, 波斯? Q中?[?Q用麝香的比?[)」이다. 양 선생은 사향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가지고 아랍 및 페르시아와 중국의 교류 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사향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각국에서 사향 에 대한 사용법이 달랐음을 밝히며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하게 된 배경 등을 밝히고 있어, 국내에서 쉽게 접 할 수 없는 정보가 담겨져 있는 귀한 원고이다. 세 번째는 동국대학교 윤리문 화학과 허남결 교수의 「실크로드의 호상胡商 소그드인들의 재조명- 종교문명의 동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이다. 과거 실크로드의 실 경제권자라 해도
과언이 아닌 소그드인들에 대한 심도 있는 조명과 이들을 통해 전해진 종교문화에 관해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네 번째는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윤선태 교수의 「돈황·투르판 吐魯番 출토 문자자료文字資料와 한국 고대 목간木簡·문서文書의 비교연구」이다. 윤 교수는 논문을 통해 돈황 및 투르판 지역에서 출토된 자료와 한국의 고대 목간 및 문서를 비교 분석하였는데, 단순한 비교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주변부가 중심문화를 수용하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역동적인 변용의 일환으로 목간 및 문서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이
와 같이 제3편에서는 형상화된 상像, 문자, 문헌, 재료 등을 통한 문화적 해석이 이루어졌다.
제4편 실크로드, 근현대기의 새로운 전망에서는 실크로드를 역사적으로 조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발전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 5편의 원고들이 편집되었다. 첫 번째 로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의 한중의 ?[中?선생은 「실크로드 상의 근현대 수피파 (Sufism)에 대한 다원적 고찰(?Q?[之上的近?Q代?[非派多?Q度考察)」을 통해 오늘날 실크로드상에 존재하고 있는 이슬람 교파에 관해 상세한 정보를 주고 있다. 이맘이 라바니파, 크리스티야 교단, 수흐라와르디야 교단, 가드린야 교단, 살라미야 교단, 자하리야 교단, 쿠피야 교단, 쿠브리야 교단 등에 대해 각각 교단의 역사와 활동 등을 소개하고 있
어 다문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가 무슬림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논문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섬서사범대학의 왕초王超 교수는 「실크로드의 종교 보급의 동향에 대한 시론(?Q?[?Q?[之路的宗?Q?[播流向)」에서 대다수의 종교 및 신흥종교가 서방에서 동방으로 전파되는 양상에 대해 여러 관점을 통해 그 배경에 접근하고 있다. 특히 동방- 중국의 전통적인 사상과 개념이 국가 및 민족의 울타리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배경을 언급하고 있어 독특한 관점으로 종교 보급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세 번째로 운남대학교 민족학원팡티에方?교수는 「서남西南 실크로드에 대한 간론簡論(?Q?[西南?Q? [之路)」을통해 서남 실크로드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팡 교수의
논문은 동남아시아 및 서남아시아에서 이루어진 교류의 흔적들을 사서에서 찾고, 오늘날 실크로드의 개념 속에 해상루트가 포함될 수밖에 없는 당위성을 역사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네 번째,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변방역사지리연구센터 편집심사위원인 리타롱李大?교수는 「실크로드: 민족융합과 문화발전의 동력(?Q?[之路: 民族交融?Q文化?[展的?Q力)」을 통해 과거 실크로드가 번영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오늘날 실크로드가 번영해야 여러 민족의 융합을 통해 문화가 발전하고 정치·경제의 안정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섯 번째
는 운남대학 사학과 루워 췬?Q群 교수의 「20세기 이후 ‘남방 실크로드’에 대한 연구와 논평(二十世?[以?Q“南方?[?Q之路”?[究述?Q)」이다. 루워 교수는 논문을 통해 20세기 이후 남방 실크로드에 대한 연구를 회고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난 1980년 이후 발전한 남방 실크로드 연구성과를 면밀히 검토한 후 제시하고 있는 여러 방면의 접근방식은 관련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큰 주제가 편제가 되었다는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학술대회가 1회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매년 3월 정기적으로 열리기 때문에 이번 총서를 시작으로 실크로드에 대한 여러 각도의 접근을 할 예정이다. 따라서 부족한 점, 무모해 보일 수 있는 편제 등이 점차 해소될 것이라 기대하고 독자의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학술대회 준비위원이자 본서의 마지막 교정 및 교열까지 함께 힘써 주신 석길암 교수님, 최원섭 교수님, 최은영 교수님, 김성순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또한 학술대회 가 무난하게 진행될 수 있었던 데는 번역과 통역을 맡아 주셨던 고려대학교 정광훈 선생님, 홍성초 선생님, 동국대학교 곽뢰 선생님, 금강대학교 박광철 선생님의 도움이 컸다. 이 책이 나오는 이 순간에도 2015년 3월에 개최될 제2회 학술대회 “종교와 민족, 실크로드”를 향해 연구에 매진하시는 각국의 연구자 분들께서 좋은 발표를 해주시리란 기대를 해본다.

2014년 12월
저자를 대표하여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한지연

[목차]
간행사 / 5
편집자 서문 / 7

서편 초기 실크로드와 불교의 전파
실크로드와 동아시아 불교 / 정병조(鄭柄朝)
실크로드와 새로운 ‘실크로드 경제지대’의 구축 / 쪼우 웨이쪼우

제1편 초기 실크로드와 불교의 전파
● 고창명승집 고찰(高昌名僧輯考)/ 왕씬(王欣)
● 화엄경의 편집·유통과 호탄(Khotan) / 석길암(石吉岩)
● 『현겁경』을 기반으로 한 초기 서역 불교 수행 체계에 관한 고찰 / 한지연
● 양주凉州·평성平城과 불교 / 우흥린(?[洪琳)

제2편 실크로드와 중국 초기불교
●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의승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 / 김성순(金星順)
● 위진남북조 시대 중앙아시아 역경승의 중국 내지에서의 활동 / 한샹(韓香)
● 인도에서 중국으로 반야신앙般若信仰의 교통로, 실크로드 / 최은영(崔恩英)
● 영남대학교도서관 소장 돈황경권敦煌經卷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권제3과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비교연구 / 정광훈(鄭廣薰)

제3편 실크로드, 문화적 다양성
● 감숙성 경천현 서왕모석굴의 약샤(yaksha)상 / 황순일(黃淳壹)
● 중고中古 시기 아랍, 페르시아 및 중국의 사향麝香 이용 비교연구 / 양동
위(?[?[宇)
● 실크로드의 호상胡商 소그드 상인들의 재조명 / 허남결(許南結)
● 둔황·투르판吐魯番 출토 문자자료와 한국 고대 목간木簡·문서文書의
비교연구 / 윤선태(尹善泰)

제4편 실크로드, 근현대기의 새로운 전망
● 실크로드의 종교 보급의 동향에 대한 시론 / 왕초(王超)
● 실크로드 상의 근현대 수피파(Sufism)에 대한 다원적 고찰 / 한중의(?[中?[)
● 서남西南 실크로드에 대한 간론簡論 / 팡티에(方鐵)
● 실크로드: 민족융합과 문화발전의 동력 / 리타롱(李大龍)
● 20세기 이후 ‘남방 실크로드’에 대한 연구와 논평 / 루워 췬(?[群)

[저자소개]
저자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2일 ~ 5일
  • 배송 안내 : ...◐ 빠른 배송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주문제작 및 인쇄건은 배송기간이 각각 다르오니 전화문의 바랍니다.
    ...◐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REVIEW

    구매하신 상품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모두 보기

    Q&A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문의해 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