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적 4104_[윤달과 신행생활] 나 그리고 우리를 위한 복 짓기 (구미래 저)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소비자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상품코드 P0000OGF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서적 4104_[윤달과 신행생활] 나 그리고 우리를 위한 복 짓기 (구미래 저)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이벤트

WISH PRODUCT LIST

불교서적 4104_[윤달과 신행생활] 나 그리고 우리를 위한 복 짓기 (구미래 저)

저자 : 구미래
출판사 : 아름다운인연
발행일 : 2014. 9. 11
페이지수/크기 : 232쪽 / 130 * 190 mm
ISBN_9791155800201(1155800206)

[책소개]

[나 그리고 우리를 위한 복 짓기]는 복잡한 윤달민속의 양상을 분석해 관념적으로 변화해 온 윤달 속의 삶을 바라보고, ‘나와 남을 위해 복덕을 쌓는 시간’으로 승화시킨 불교적 관점에서의 윤달에 주목해 쓴 책이다. 이 책에서는 세 가지 윤달 불교민속 ‘생전예수재’, ‘삼사순례’, ‘가사불사’를 통해 민속과 불교의 시선으로 윤달 속 우리네 삶을 분석하였다.

[출판사 서평]

윤달에 쌓는 복덕으로
일 년 열두 달 신심과 자비로 가득한 삶을 살다
생전예수재, 삼사순례, 가사불사, 세 가지 키워드로 보는 우리 불교민속


윤달은 음력문화의 산물이자, 달이 주는 시간 선물이다. 물론 현대의 우리는 윤달을 합리주의적으로 인식하면서 그 의미가 많이 사라진 편이다. 그러나 밤하늘에 떠오르는 달이 있는 한 윤달은 언제고 인간과 함께하는 시간이요, 일상 속에 찾아드는 신비로운 시간이다.
이런 윤달을 고대 중국의 사람들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근신하며, 액막이를 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에 비중을 두어 지냈다. 반면 우리의 선조들은 윤달을 오히려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시간으로 받아들였다. ‘덤으로 받은 시간’ 속에서 인간을 감시하는 신들도 휴가를 떠난다고 생각했고,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다’고 할 정도로 일상의 금기에서 해방되는 시간으로 여겼던 것이다.
사실 윤달을 지낸 옛사람들의 생활 양상은 매우 복잡하다. 윤달의 길·흉 양면성, 윤달에 부각되는 신(神)의 존재 유무와 성격 등에 따라 윤달에 대한 해석과 그 시간을 보내는 삶의 방식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렇듯 복잡한 윤달민속의 양상을 분석해 관념적으로 변화해 온 윤달 속의 삶을 바라보고 있다.
특히 ‘나와 남을 위해 복덕을 쌓는 시간’으로 승화시킨 불교적 관점에서의 윤달에 주목한다. 불확실한 시간에 대한 불안감을 선조들은 ‘기도하면 감응하는 달’로 여기면서 자리이타(自利利他)의 공덕을 지어 왔음을 피력하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윤달이면 궁궐에 많은 스님을 모시고 백좌도량(百座道場)을 열거나 대장경을 경찬하며, 재난과 액을 물리치는 소재도량(消災道場) 등을 베풀었다. 또 왕이 사찰에 행차하여 불공을 올리고 선왕의 능을 배알하는가 하면 사면령을 내려 죄수를 풀어 주고 노인과 소외된 이, 의로운 이들에게 음식과 물품을 지급하였다.

윤달의 대표적인 불교의례로 꼽히는 예수재와 삼사순례·가사불사를 비롯하여, 윤달이면 사찰을 찾아 불공을 올리고 영가천도를 하는 풍습이 오랜 역사에 걸쳐 전승되고 있다. _ 본문 68쪽

지금까지 전승돼 오고 있는 ‘윤달 복 짓기’ 풍습은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삶’을 살았던 우리 선조의 태도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윤달’은 ‘우리에게 덤으로 주어진 비일상의 시간’이라는 의미에서 확장되어 평소 부족했던 마음공부에 힘쓰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행으로 옮기는 나날이 되도록 이끌고 있다.

일상 속에 찾아드는 신비한 달의 시간, 윤달[閏月]
민속과 불교의 시선으로 윤달 속 우리네 삶을 분석하다


이 책에서는 세 가지 윤달 불교민속을 주목한다. ‘생전예수재’, ‘삼사순례’, ‘가사불사’가 그것이다. 윤달의 대표적인 불교의례로 꼽히는 이 의례는 복을 구하는 기도에서 한 걸음 나아가 자신의 수행을 돌아보며 보다 큰 공덕을 실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살아 있을 때 자신의 극락왕생을 위한 불공을 드리는 ‘생전예수재’는 자신의 죽음을 내다보면서 소홀했던 자기수행을 점검하고 선행을 발원하는 의례이다. 또 세 곳의 절을 밟는 형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삼사순례’의 경우 삼보를 찾아가는 길이 곧 자신의 참마음을 찾아가는 자리요, 부처와 조금씩 가까워지기 위한 발원과 성찰의 길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긴 옷을 스님에게 보시하는 ‘가사불사’는 삼보를 섬기며 불교를 꽃피워 나가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고 가장 구체적이고 공덕이 큰 보시라 하겠다.

예수재를 비롯한 윤달의 민속은 재가신도들로 하여금 청정한 신심으로 보시를 행하게 하여 한량없는 공덕을 성취하도록 한다.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지극한 정성으로 올리는 공양이야말로 선업 중의 선업이며, 작은 악행이라도 과보를 피할 수 없듯 작은 선업이라도 그 과보는 헛되지 않기 때문이다.

성철 스님은 “절은 불공을 가르치는 곳이지 불공을 드리는 곳이 아니다. 불공은 절 바깥에 나가 남을 돕는 것이며, 불공의 대상은 절 바깥에 있는 일체중생이다”라고 하였다. 이 말은 삼보를 향한 보시를 중생을 향해 돌리라는 뜻이 아니라, 자신만을 위한 기복적 불공에서 벗어나라는 뜻이다. ‘나’에서 벗어난 공덕이 나를 위한 더 큰 복으로 돌아오고, 나를 향해 닦은 신행은 모든 중생을 위한 복으로 작용하는 이치를 깨달으라는 것이다._ 본문 69~70쪽

이 책 내용의 주가 되는 세 불교민속에 대한 저자의 시선은 ‘기복적’ 측면에 있지 않다. “복은 ‘비는 것’이 아니라, ‘짓는 것’이다”라는 저자의 말처럼 평소 부족했던 마음공부에 힘쓰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행으로 옮기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는 기복적 불공에서 벗어나 마음을 닦는 데 뜻을 두고, 삼보와 이웃을 향한 공덕이 결국 자신을 위한 것임을 일깨운다.
이 책은 결국 공덕을 쌓는 일에 있어 특별한 시공간이 있을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다만 일상적으로 공덕을 쌓기에 힘든 중생에게 ‘윤달’이라는 종교적 시간 동안만이라도 참된 불자의 마음가짐을 깊이 되새겨야 함을 말한다.
‘나’ 하나에서부터 모든 것이 시작되듯, ‘윤달’에서부터 진정한 불공, 불교의례의 의미가 실천된다면 언젠가 일 년 열두 달이 지극한 신심과 자비로 가득한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책속으로 추가

윤달의 중요한 불교풍습의 하나로 ‘가사불사(袈裟佛事)’ 또한 손꼽을 수 있다. 가사는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짓는 것이지만, 특히 윤달에 스님들에게 가사를 지어 올리면 공덕이 크다고 하여 대표적인 윤달 불교풍습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196쪽)

어느 날 부처님이 해변에서 선정에 들어 있을 때 용왕이 찾아와서 금시조(金翅鳥)가 나타나 어린 용들을 잡아먹는다며 간절히 도움을 청하였다. 이에 부처님은 “가사조각을 용의 몸에 붙여라”라고 일러주었다. 용왕이 스님의 가사를 얻어 작은 조각으로 나눈 뒤 모든 권속에게 붙여 놓았다. 금시조가 용왕의 새끼를 잡아먹으려고 와서 보니 모두 가사를 갖춘 스님들뿐이어서 감히 근처에도 가지 못한 채 물러가고 말았다.
금시조의 난을 물리친 가사 천 조각??. 이는 가사가 삼보의 한 존재인 승보를 보호하고, 불법을 상징하는 것임을 드러내는 이야기이다. 시주를 하는 이, 바느질을 하는 이, 시주를 받는 이가 모두 청정하고 지극한 마음으로 임하는 가사불사이기에 그만큼 공덕 또한 크고 깊을 것이다.(226쪽)

[목차]

1장 업을 녹이고 복을 짓기
-
참회하는 마음으로 녹이는 업
올바른 행으로 짓는 복

2장 윤달에 대한 이해
-
윤달과 인간의 심리
네 가지 유형의 윤달민속
길과 흉이 함께하는 이유
윤달 길흉관념의 변화
윤달에 대한 불교적 관점

3장 생전예수재
-
생전예수재의 의미
생전예수재의 내력과 근거
위상에 따른 자리 마련, 설단
금은전의 조성과 헌납
예수재의 절차와 내용

4장 삼사순례
-
순례의 문화
순례의 역사
윤달에 행하는 삼사순례
마음을 찾아가는 순례 길

5장 가사불사
-
가사의 전승내력
가사불사의 공덕
가사불사의식

[책속으로]

윤달은 복을 짓는 달이다. 세간에서는 윤달에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구분하는 데 분주하지만, 불교에서는 나와 남을 위한 복을 짓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남을 위해 행한 일이 나를 위한 복이 되고, 나를 향해 닦은 신행은 또 사방으로 퍼져 나가 중생을 위한 복으로 작용한다. 윤달은 그러한 의미를 되새기는 달이며, 그러한 행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달이다.(22쪽)

전통적으로 윤달은 가외로 얻은 시간이라 인간사에 관여하는 신들도 감시를 쉬게 될 것이고, 따라서 평소 조심스러웠던 일을 해도 무탈할 것이라는 생각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를 중심으로 ‘일상에서 벗어난 시간’에 대해 여러 갈래의 갈등과 상반된 해석이 따랐다. 이에 윤달의 민속도 간단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명절이나 일상의 중요한 일에 음력을 사용하는 오늘날에도 윤달의 습속은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으니, 윤달의 문화는 현재진행형인 셈이다.(31쪽)

성철 스님은 “절은 불공을 가르치는 곳이지 불공을 드리는 곳이 아니다. 불공은 절 바깥에 나가 남을 돕는 것이며, 불공의 대상은 절 바깥에 있는 일체중생이다”라고 하였다. 이 말은 삼보를 향한 보시를 중생을 향해 돌리라는 뜻이 아니라, 자신만을 위한 기복적 불공에서 벗어나라는 뜻이다. ‘나’에서 벗어난 공덕이 나를 위한 더 큰 복으로 돌아오고, 나를 향해 닦은 신행은 모든 중생을 위한 복으로 작용하는 이치를 깨달으라는 것이다.(70쪽)

불교의 윤회관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다음 생이 결정된다고 보기에, 현생은 이전 생의 업을 갚는 방식으로 살아가게 된다.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는 다음 생에 살아가면서 갚아야 할 과거와 현생의 과보를 살아 있는 동안에 미리 갚는 성격을 지닌 의례이다. ‘생전에 미리[預] 닦는다[修]’는 뜻처럼 사후를 위해 살아 있을 때 미리 재를 올려 공덕을 쌓는 것이다. 줄여서 ‘예수재’라 부르며, 죽어서 행할 일을 미리 한다고 하여 ‘역수(逆修)’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예수재는 본래 윤달과 무관한 의례였으나, 점차 윤달 세시풍속과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업장소멸과 선업을 쌓는 윤달행사로 이어져 오고 있다.(72쪽)

‘미리 닦는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 예수재는 불자들이 소홀했던 자기수행을 점검하고 선행을 발원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에 “살아서 선업을 닦지 못하고 많은 죄를 지어 죽었다면 권속이 그를 위해 복을 지어 줄 때 그 공덕의 7분의 1은 망인에게 돌아가고 나머지는 산 사람에게 돌아간다. 그러므로 이 말을 잘 들어 스스로 닦으면 그 공덕의 모두를 얻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살아 있을 때 스스로 수행하여 닦는 복이 사후에 대신 지어 주는 복보다 훨씬 큰 것임을 말해 주고 있다. 많은 경전에서 ‘예수코자 하거든 방생부터 먼저 하라’고 한 것도 이 의미와 다르지 않다. 자신의 내세만을 위해 기도할 것이 아니라 주변을 돌아보며 공덕을 쌓으면 그것이 더 큰 복이 되어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77쪽)

윤달에는 하루에 세 곳의 절을 도는 ‘삼사순례(三寺巡禮)’의 풍습이 성행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삼사순례를 ‘세절밟기’라고도 부른다. 세 곳의 절을 순례함으로써 복을 구하는 삼사순례는 예수재?가사불사 등과 함께 윤달에 행하는 대표적인 불교의례로 널리 알려져 있다.(176쪽)

부처님 앞에 앉아 있는 우리 중생의 자리는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에서 벗어나지 못한 때가 많다. 모든 기도는 자신을 위한 데서부터 출발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주변을 돌아보지 않은 채 이기적으로 살다가 아무런 참회도 없이 부처님께 복을 구하기만 할 때가 많다. 이러한 마음가짐으로라면 부처님 앞에 참배한다 해도 공덕을 쌓는 일이 되지 못할 것이다.
이 지점에 순례의 참뜻이 있다. 부처님 앞에 마주하기 위해서는 길이 필요하다. 이는 곧 자기 자신을 향하는 데 길이 필요하다는 말과 같다. 가까운 곳에도 사찰이 있고, 부처님이 계시지만 구태여 순례 길에 오르는 것은 참 자신과 마주하기 위한 ‘길’의 의미를 새기기 위함이다.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부처님과 대면하기 위한 길 떠남은 바쁘다는 핑계로 돌아보지 않았던 자신과 거리를 두고 스스로를 성찰하기 위한 길 떠남인 것이다.(192~193쪽)

[저자소개]
저자 : 구미래
저자 구미래는 현재 불교민속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며 동방대학원대학교 학술연구교수를 맡고 있다. 그 밖에 대한불교조계종 성보보존위원·연구위원, 불교민속학회 연구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불교의 일생의례』,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 『한국인의 상징세계』, 공저로는 『절에 가는 날』, 『불교 상제례 안내』, 『종교와 노래』, 『종교와 그림』, 『종교와 의례공간』 등이 있다.

  •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2일 ~ 5일
  • 배송 안내 : ...◐ 빠른 배송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주문제작 및 인쇄건은 배송기간이 각각 다르오니 전화문의 바랍니다.
    ...◐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REVIEW

    구매하신 상품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모두 보기

    Q&A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문의해 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