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적 2171..불교란무엇이아닌가(불교를둘러싼23가지오해와답변)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소비자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상품코드 P0000IKE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서적 2171..불교란무엇이아닌가(불교를둘러싼23가지오해와답변)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이벤트

WISH PRODUCT LIST

불교서적 2171..불교란무엇이아닌가(불교를둘러싼23가지오해와답변) 

저자 : 베르나르 포르 / 역자 : 김수정
출판사 : 그린비
발행일 : 2011. 03. 05
페이지수/크기 : 224쪽 | A5 ㅣ ISBN-10 : 8976823559 | ISBN-13 : 9788976823557
원서 : (Le)bouddhisme/Faure, Bernard

[책소개]
불교를 둘러싼 23가지 오해와 답변 『불교란 무엇이 아닌가』. 기존의 책들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무엇이 불교가 아닌지”를 설명한다. 특히 저자는 서구의 언론매체나 여러 대중문화 속에서 널리 알려진 불교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불교 전통을 현대 문명사회에서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게 탐색하고 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불교는 허무의 종교인가?’, ‘불교는 자비를 가르치는가?’ 등 불교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 23가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불교 전통을 현대 문명사회에서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에 대해 논하는 책이다.
불교에 대한 통념에 던지는 23개의 반문(反問)
- 우리가 알던 불교는 진짜 불교일까?

영국의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Arnold J. Toynbee)는 세상을 떠나기 몇 해 전, “미래에 역사가들에게 20세기 가장 중요한 사건을 꼽으라고 한다면 그들은 무엇을 꼽을 것이냐” 하는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동양의 불교가 서양으로 건너와 그리스도교를 대체한 것”이라고 대답했지만, 사람들은 이에 수긍하기는커녕 토인비가 연로하여 총기가 흐려졌다고 수군거리기만 했다고 한다. 그러나 토인비의 예상은 적중하여 최근 30년 사이 서양에서는 불교 붐이 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각광을 받고 있다. 1989년 달라이 라마의 노벨평화상 수상으로 치솟는 인기의 절정을 찍은 불교로 인해 서양의 사찰이나 젠 센터(명상센터)에 사람들의 발이 끊이지 않고, 심지어 리처드 기어나 샤론 스톤과 같은 할리우드 스타들까지도 불교신자임을 공공연히 드러내며 간접적으로나마 민간 포교에 앞장서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해 동양권에서는 현각(玄覺) 스님과 같은 푸른 눈의 출가자들까지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대중적 불교 붐 속에서 “불교는 자비를 가르치는가?”, “불교는 환생을 가르친다?”, “모든 불교도들은 깨달음을 추구한다?”와 같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여겨지는 질문을 던지는 불교학자가 바로 이 책의 저자 베르나르 포르(Bernard Faure)이다. 일본 선불교계의 석학 야나기다 세이잔(柳田聖山)의 제자이자, 미국 불교학계 내에서 선불교 연구의 권위자로 꼽히고 있는 그가 이 책 『불교란 무엇이 아닌가』에서 이렇게 불교에 대해 상식으로 여겨지는 것들에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우리가 불교에 대해 갖고 있는 지식이 19세기에 비해서는 상당히 진보했음은 자명하나, 여전히 특정한 관습적 사고 속에 사로잡혀, 문제제기와 질문의 범위가 늘 같은 영역 안에서 맴돌고”(8쪽) 있기 때문이다. 그는 자칫 불교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통념들 중 하나로 고정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반문의 형식으로 불교의 진실에 다가가고자 하는 것이다(이 책의 원서 Le Bouddisme는 ‘통념’이라는 시리즈 중 한 권이다). 저자는 “불교의 경우, 이러한 단순화의 시도가 종종 도를 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단순화된 부분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불교가 무엇인지에 관한 수많은 서적들이 시중에 나와 있으며, 그 책들은 각기 나름대로 ‘불교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인은 이 책을 통해 기존의 책들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무엇이 불교가 아닌지’를 설명하려고 한다”(5쪽)고 선언하고 있다.
불교의 역사부터 불교의 사회학까지, 불교에 다가가는 N개의 독법
최근 선불교뿐 아니라 불교와 성(性), 불교와 폭력, 비교종교학 등 다양한 주제와 연구 방법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를 원하는 저자 베르나르 포르는 일반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불교에 대한 23가지 통념을 뒤집어 질문하며, 불교도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의 호기심까지 자극한다. 또한 평이한 문체와 함께 각 장의 주제를 뒷받침해 주는 다양한 사례들, 또 한국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자가 하나하나 손수 추가한 도판들은 이 책의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책을 빛나게 하는 것은 압축적으로 주제와 정보를 전달하는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독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첫째로 기존의 불교의 교리나 수행방법이라고 (철석같이 믿었던) 하는 것들에 대한 다시보기를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불교는 유일신이나 절대자에게 의존하여 구원을 받는 종교가 아닌 스스로의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해탈에 이르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하는 종교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모든 불교도들은 해탈에 이르는 첫번째 조건이자 수행 최고의 목표인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진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에 대해 과연 그러한지 되물으면서 깨달음이 불교도들이 추구하는 공동의 목표였는가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인다. “물론 불교의 궁극적 목표가 깨달음이라고들 해도 실제 불교도들 대다수의 삶을 볼 때, 사람들은 물질적인 것이든 상징적인 것이든 간에 세간적 이익의 획득을 더 중시해 왔다. (…) 승려들도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 최고의 목표이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승가 단체들 역시 이생에서의 물질적인 번영이나 명예, 더 나은 내생을 추구한다”(61~62쪽)며 오히려 이러한 부분을 대중의 요구에 대한 서툰 영합이라고 치부하며 오로지 순수한 ‘깨달음’만을 목표로 삼는 시각에 비판을 가한다.
둘째, 서양에서 퍼지고 있는 불교 붐의 허와 실을 짚어볼 수 있다. 현재 서양에서 각광받고 있는 불교는 티베트불교와 일본의 선불교로, 서양에서는 선 수행 등을 통한 심리치료나 명상 등 불교를 기능적인 것으로 이용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것이 과연 불교 본연의 수행 방식이나 교리에 부합하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특히 서구의 불교 단체들은 대개 좌선 수행을 강조하는데 이는 사실 서구인들의 이미지 속에서만 존재하는 불교의 모습일 뿐이다. 먼 고대로부터 응집되어 온 불교라는 고전이 서양인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그것을 삶의 자세로 받아들이게 된 것인지 아니면 현대인들의 지친 심신을 치료해 줄 상품의 일종으로서 ‘불교’를 소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에 대해 의문을 가져 볼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우리 역시 불교를 대하는 자세로서 한 번쯤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이다.
셋째, 서양의 불교라는 거울을 통해 우리를 되돌아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 책에서 포르가 제시하고 있는 23가지의 반문들은 서양인들이 불교에 대해 가지고 있는 통념에서 기반한 것이다. 그러나 무려 3세기부터 불교를 받아들인 우리의 눈에도 불교는 자비의 종교, 무상의 종교, 환생을 가르치는 종교, 혹은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일종의 테라피 정도로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즉, 우리 역시 불교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미지나 이해 방식이 서양인들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에게는 오히려 토착종교라고도 할 수 있는 불교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이 얼마나 서구화되어 있는지를 보여 주는 단적인 예이다.
넷째, 불교의 기원에서부터 소승(상좌부)ㆍ대승ㆍ금강승(밀교) 등의 다양한 불교 전통들이 전개되어온 과정 등 2천 년이 넘는 불교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붓다의 출생과 열반(2, 4장)이며 중세 일본의 사무라이승려들의 활약(23장)이며, 전설 같기만 한 티베트불교의 역사(13, 20, 22장), 미얀마 승려들의 폭력 사태(22장) 등도 간략하게나마 맛볼 수 있다. 이 책 곳곳에 흩어져 있는 불교사의 크고 작은 사건들의 서사를 구성해서 읽다 보면 머릿속에 불교사 전체를 관망할 수 있는 지도가 그려지게 될 것이다. 또 대승의 전통이 강한 한국에서는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밀교 전통에 대한 정보(일본 진언종의 호마 의식이나 티베트의 참 의식) 등은 이전에는 미신으로 치부해 버렸거나 ‘불교’라고 생각지 못했던 영역까지도 불교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불교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켜 준다.
소비되는 불교를 넘어서 새로운 불교에 대한 창안으로
저자는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유일한 사람인가?”, “불교는 철학이지 종교가 아니다?”, “불교는 모든 것이 평등하다고 가르친다?” 등등의 반문을 던지며 이 책 어디에서도 “불교란 이것이다”라고 정의 내려 주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질문거리로 삼은 모든 것들이 ‘불교가 아니다’라고도 잘라 말하지 않는다. 대신 불교가 한 마디의 명제로 단순화되고, 그로 인해 우리의 통념이 고정화하는 것, 그리하여 불교를 가능하게 한 사회적 배경이나 역사, 또 불교 전통을 풍성하게 만든 여러 요소들은 쏙 빠뜨린 채 불교의 ‘정신’만 남기는 것을 경계한다. ‘불교’가 생겨난 2500여 년 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불교는 한 번도 한 가지 모습으로만 존재한 적은 없었다. 인도에서 태어난 불교는 인도의 토착문화였던 힌두교와 섞이기도 했고, 한반도로 들어왔을 때에는 우리 고유의 무속과 섞이기도 했으며, 일본에서는 장례불교로 발달하기도 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불교 특유의 교리나 수행법, 의례 등이 발달했음에도 미신적이거나 종교적인 부분은 제거해 버리고 이성적이라든가, 근대적이라든가 하는 필요한 부분만 취하여 개인적ㆍ사회적 방편으로 이용하는 것 역시 저자가 ‘불교가 아니’라고 하는 지점이다. 문제는 우리 역시 이 ‘불교가 아니’라고 하는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너무나 다분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불교’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각종 유·무형의 상품들로 불교를 ‘소비’할 것인가, 아니면 살아 있는 전통으로서의 불교를 계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냐 하는 질문을 우리에게도 던지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 5 / 머리말 - 7
1부 역사 속의 불교
1_하나의 불교, 여러 개의 불교들? 16 / 2_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유일한 사람인가? 24 / 3_불교는 인도의 종교인가? 34 / 4_불교는 허무의 종교인가? 41 / 5_불교는 철학이지 종교가 아니다? 48 / 6_ 모든 불교 도들은 깨달음을 추구한다? 58 / 7_불교는 모든 것이 무상하다고 가르친다? 66 / 8_업에 대한 믿음은 숙명론에 이르게 한다? 74 / 9_불교는 자아의 존재를 부정한다? 81 / 10_불교는 환생을 가르친다? 86
2부 불교와 토착문화
11_불교는 무신론적 종교이다? 94 / 12_불교는 하나의 정신적 추구인가? 106 / 13_달라이 라마는 불교의 정신적 지도자이다? 113 / 14_불교 도가 된다는 것은 선 수행을 하는 것이다? 122
3부 불교와 사회
15_불교는 관용의 종교인가? 132 / 16_불교는 자비를 가르치는가? 140 / 17_불교는 평화의 종교인가? 145 / 18_불교는 모든 것이 평등하다고 가르친다? 154 / 19_불교는 과학과 양립할 수 있는가? 161 / 20_불교는 일종의 테라피이다? 173 / 21_불교는 엄격한 채식주의를 주장한다? 183 / 22_불교는 보편주의적 가르침인가? 189 / 23_불교는 승가 중심의 종교이다? 199
결론 _ 불교 혹은 새로운 불교? 211 / 참고문헌 - 216 / 옮긴이 후기 - 218 /찾아보기 - 221

[책속으로]
최근 대중매체에서는 소수 지식인들의 영향으로 불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로 서구사회에서 불교가 성장하게 된 사회학적 중요성에 대해 보도한다. 서구사회에서 불교가 가진 위상은 이렇게 역전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과연 불교에 대해서 무엇을 알고 있는가? 우리가 불교에 대해 갖고 있는 지식이 19세기에 비해서는 상당히 진보했음은 자명하나, 여전히 불교에 대한 지식은 특정한 관습적 사고 속에 사로잡혀, 문제제기와 질문의 범위가 늘 같은 영역 안에서 맴돌고 있다.(8쪽)

[저자소개]
베르나르 포르(Bernard Faure)
저자 베르나르 포르(Bernard Faure)는 1948년 프랑스 남부 작은 시골, 앙굴렘에서 태어나 1984년 파리 제7대학에서 북종선(北宗禪)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미국 코넬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1987년부터 2005년까지 18년간 스탠퍼드대학에서 지도했다. 2006년부터는 컬럼비아대학으로 옮겨,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와 종교학과 교수로 학생들의 지도를 맡고 있는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The Rhetoric of Immediacy (1991), Chan Insights and Oversights (1993), Visions of Power (1996), The Red Thread (1998), The Power of Denial (2003), Double Exposure (2004), Bouddhisme et violence(2008) 등이 있다. 중국 선불교와 일본종교가 주요 연구 분야이지만 한국불교에 관해서도 관심이 많으며, 로버트 버즈웰(Robert Buswell) 교수가 편집한 Currents And Countercurrents(2005)에 한국불교 관련 논문이 실려 있다.

  •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2일 ~ 5일
  • 배송 안내 : ...◐ 빠른 배송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주문제작 및 인쇄건은 배송기간이 각각 다르오니 전화문의 바랍니다.
    ...◐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REVIEW

    구매하신 상품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모두 보기

    Q&A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문의해 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