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적_5019_불교와 유교의 철학 논쟁사: 중국과 한국에서의 배불론과 호불론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소비자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상품코드 P0000VDK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서적_5019_불교와 유교의 철학 논쟁사: 중국과 한국에서의 배불론과 호불론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이벤트

WISH PRODUCT LIST

서적_5019_북한불교 백서: 조선불교도연맹을 해부하다

□ 저자/역자/출판사:도웅/운주사 
□ 페이지수: 477쪽
□ 발행일: 2020-11-04
□ ISBN: 9788957466230

책소개

한국 사상사의 대표적 철학 논쟁 중 하나이며한국 지성사를 한 단계 끌어올린 대론으로 평가받는여말선초 유교와 불교 간의 논쟁을 체계적으로 다룬 책이다유불 논쟁은 어떻게 시작되고어떤 전개 과정을 거쳤는지그 핵심 주제는 무엇이고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그리고 한국 사회에 끼친 사상적·정치적·사회적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입체적으로 조망하였다조선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정치세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사상의 교체기에유교와 불교가 주도권을 놓고 벌이는 한판 승부는 흥미롭기까지 하다.

 

1.

삼국 시대에 전래된 불교와 유교는 한국인의 삶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특히 불교는 단순히 종교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정치와 문화사상 등 전 분야에 걸쳐 한국인의 삶의 양식과 정신적 근간이 되었다불교와 유교는 역사 속에서 서로 갈등과 대립조화의 관계를 유지하며 발전적으로 전개되어 왔다따라서 한국 지성사와 한국인의 삶의 양식과 심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며특히 신유학 전래 이후 유교와 불교가 가장 치열하게 대론을 벌였던 여말선초의 유·불 논쟁과 전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아울러 우리보다 먼저 불교를 받아들였던 중국에서는 양자의 대론과 융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이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만 인도나 중국과는 다른 한국 불교와 유교의 독자성을 밝힐 수 있으며그때 비로소 한국의 불교한국의 유교가 무엇 때문에 서로 갈등하고 비판하며 또 조화를 시도하였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한국 사상사에서 가장 중요한 대론 중의 하나로 꼽히는 유교와 불교 간에 치러진 배불과 호불의 사회적·정치적·사상적 배경과 전개 과정그리고 그 핵심 내용과 의미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

고려 말 조선 초는 유교가 전면에 등장함으로써 유교를 등에 업은 정치권력과 종교와 사상의 구심점에 있던 불교가 서로 충돌하던 시대였다이전까지 사상의 중심이었던 불교에서 유교로의 통치이데올로기 전환은성리학의 수용과정에서 형성된 새로운 정치세력이 불교의 진호국가설을 비판하고 불교를 이단異端으로 배격하는 것이었다그러나 이러한 진호국가설과 이단의 문제는 비단 여말선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기존의 연구 대부분은 한국불교의 특징을 호국불교로 내세우며 그 독자성만을 강조해 왔는데이 책에서는 호국불교의 연원이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부터 비롯되었으며중국을 거쳐 한국에까지 전래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의 불교 전래 초기부터 나타난 유불儒佛 교섭과 대립 과정즉 불교가 중국 고유의 사상인 유교·도교와 사상적사회문화적으로 어떻게 투쟁하고 조화하면서 토착화되어 갔는지를 다루고 있다이어 당송 대에 한유를 필두로 하여 나타난 유교의 이단론異端論과 도통론道統論이 어떻게 배불론으로 전개되었으며이 과정에서 장상영으로 대표되는 불교 측의 대응과 유·불 조화론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났는가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여말선초 유·불 대론의 배경을 다루고 있다먼저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배경을 고려의 진호국가 사상과 호국삼부경을 중심으로 한 불사佛事의 성행과 승가의 타락그리고 이에 대한 유학자들의 인식과 비판의식의 대두를 다루고이러한 불교 비판에 대해 당시 이색이제현 등 일부 유학자들의 조화론적 불교관과 친·배불의 이중적 불교관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이 책의 중심 주제인 조선 초기 배불사상과 불교의 대응을 본격적으로 고찰하는데조선 건국의 주역인 정도전의 배불사상과 이에 대한 기화己和의 유·불 조화론적 대응을 중심으로 전개된다정도전이 제시한 배불론의 사상적 근거는 중국 송학宋學 전통의 산물로서 당나라의 한유와 송나라의 정이·정호 형제특히 주희의 사상적 계보를 잇고 있다정도전은 송학의 전통과 성리학그리고 이와 연관된 역경 등에 입각하여 중국의 우주론적 도식과 이기론으로 불교의 까르마와 윤회를 비판하였는데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그러한 우주론적 원리가 아닌 철저한 인과응보와 이에 따른 재생 원리이다따라서 정도전의 불교 비판은 엄밀한 학적 개념과 논리에 근거한 것이라기보다는 당시의 정치적 필요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이에 반해 기화의 반론은 학술적으로 매우 정교하다.

기화는 정도전의 불교 비판 하나하나에 대해 답변을 제시하고 있는데그 답변은 단지 정도전의 불교 비판뿐만 아니라 한유에서부터 시작된 송학 전통과 주자 성리학으로부터의 비판 그 전체를 염두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성균관의 가장 뛰어난 유생으로서 승려가 되었던 기화는 업과 윤회는 유교적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며업과 윤회설이 지향하는 근본적 가르침은 인간이 선을 행하고 악을 피하는 것으로이것은 유교의 인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또한 유교의 공동체주의와 인간관계의 중시는 불교의 연기설과 상호 인연을 소중히 여기는 것과 동일한 가르침이라는 것을 강조한다그러한 면에서 유교의 인과 불교의 자비는 선을 행하기 위한 동일한 이타적 개념이라고 하였다이처럼 기화는 그 개념이 지향하는 근본 의미를 파악하여 불교와 유교의 가르침이 궁극적으로는 서로 융화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자 하였다기화는 불교의 화쟁 논리를 유·불 대론에 적용하여 유·불 융합을 시도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여말선초 유·불 상호대응의 특징 및 한계그리고 그 의의를 고찰하면서 마무리하고 있다.

 

3.

정도전과 기화로 대표되는 여말선초의 유·불 대론은 동아시아 사상계에서 이루어진 가장 대표적인 철학 논쟁이며한국 지성사의 수준을 한 차원 끌어올린 발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나아가 한국 사상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사상적·문화적·종교적 발전을 구축할 수 있었던 계기로 작용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처럼 이 책에서는 여말선초 유·불 대론의 시원과 과정그리고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여기에 내포된 역사적·철학적·문화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이는 다종교 사회에서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적지 않은 역사적 교훈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저자소개

도웅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에서 출가하였다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논문으로 불교 효사상의 전개유교의 효사상과 관련하여(석사, 2007), 여말선초 불교와 유교의 상호대응에 관한 연구진호국가설과 이단의 논란을 중심으로(박사, 2017)가 있고저서로 효사상과 불교(2017), 역서로 인도불교의 역사(2018)가 있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13

 

중국의 불교 수용-·불 간의 교섭과 대립 23

1. 중국의 불교 수용과 중화사상·23

2. 불교의 토착화 과정에서의 유·불 논쟁·39

1) 사상적 논쟁·40

2) 사회·문화적 논쟁·45

3. ·송대의 불교 비판과 유·불 조화론·61

1) 이단론異端論·도통론道統論 형성·63

2) 배불론의 전개·85

3) 불교 측 대응으로서의 유·불 조화론·103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배경과 추이 127

1. 고려의 진호국가 불교와 불사佛事의 설행設行·127

1) 진호국가 사상과 호국삼부경·129

2) 고려 태조의 훈요訓要로 본 진호국가 사상·144

3) 불사와 의례의 진호국가적 성격·152

4) 발원문」 등에 나타난 진호국가설·157

2.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대두·165

1) 불교 비판의 시대적·사상적 배경·165

2) 사대부 계층의 불교 인식과 비판·174

3. 유교와 불교의 조화 모색·189

1) 불교 비판에 대한 고승들의 대응·189

2) 유학자들의 조화론적 불교관·202

3) 친불·배불의 이중적 불교관·210

 

조선 초기 배불 사상과 불교의 대응 236

1. 조선 건국과 유교 이념·236

1) 개국 주역들의 이념적 성향·236

2) 유교 국가 건설과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242

2. 조선 초기 배불 사상과 국왕들의 불교관·247

1) 유교의 기본 입장과 진호국가설의 부정·248

2) 도통론의 계승과 불교 비판·257

3) 조선 초 국왕들의 불교관·265

3. 배불 사상의 체계화와 확립·294

1) 정도전의 저술과 배불 사상·294

2) 권근의 배불·친불의 이중적 성향·318

3) 조선 초 여러 배불 사상과 후대에 끼친 영향·330

4. 배불론에 대한 불교의 대응·348

1) 원천석의 유·불 귀일론歸一論·349

2) 기화의 유·불 조화론적 대응·357

3) 조선 초 유·불 조화론의 후대 계승·382

 

여말선초 유·불 철학 논쟁의 특징과 의의 399

1. 정도전 배불 사상의 핵심요소·400

2. 여말선초 유·불 조화론의 특징 및 한계·420

3. 여말선초 유·불 교체의 의의·437

 

나가는 글 442

  •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2일 ~ 5일
  • 배송 안내 : ...◐ 빠른 배송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주문제작 및 인쇄건은 배송기간이 각각 다르오니 전화문의 바랍니다.
    ...◐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REVIEW

    구매하신 상품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모두 보기

    Q&A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문의해 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