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적 4234_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의정 한역)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소비자가 38,000원
판매가 34,200원
상품코드 P0000OYP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서적 4234_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의정 한역)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이벤트

WISH PRODUCT LIST

서적 4234_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의정 한역)

저자:당나라 의정 (한역) , 보운 스님 (국역) 지음
출판사:혜안
발행일:2014. 10. 15
페이지수 & 크기:672쪽/160*232mm
ISBN:9788984945173(898494517X)

[책소개]
이 책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는 인도 근본불교에서 비구니 승단이 지켜야 할 계율을 상세하게 기술한 것으로 ‘필추니’는 원래 ‘비구니’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불교의 율장 중에서 이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는 독립적으로 비구니 율장을 완전히 갖추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책을 포함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는 인도불교의 유파인 설일체유부가 새로운 사상을 정립한 뒤에 완성된 율장으로서, 인도에서 가장 발달된 부파불교에서 수지?수행하며 연구하였던 율장이다. 이것을 중국 당나라 의정(義淨) 삼장법사가 한역(漢譯)한 것을 저본으로 하여 이번에 처음 우리말로 번역, 간행한 것이다.
[서평]
근본불교의 비구니 계율 경전을 국내 처음으로 완역하다

이 책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는 인도 근본불교에서 비구니 승단이 지켜야 할 계율을 상세하게 기술한 것으로 ‘필추니’는 원래 ‘비구니’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불교의 율장 중에서 이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는 독립적으로 비구니 율장을 완전히 갖추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책을 포함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는 인도불교의 유파인 설일체유부가 새로운 사상을 정립한 뒤에 완성된 율장으로서, 인도에서 가장 발달된 부파불교에서 수지?수행하며 연구하였던 율장이다. 이것을 중국 당나라 의정(義淨) 삼장법사가 한역(漢譯)한 것을 저본으로 하여 이번에 처음 우리말로 번역, 간행한 것이다.

불교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절대자에게 의지하여 안락과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오직 깨달음을 추구하여 계율을 기초로 삼아 대승의 삶을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깨달음으로의 여정에 여러 악업(惡業)들이 결정적 걸림돌로 작용하므로 이러한 마장(魔障)을 극복하고 깨달음의 꽃망울을 맺기 위하여 계율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이런 까닭으로 붓다도 삼학(三學) 가운데 계율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서산대사도 계율에 대해, “선(禪)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님의 말씀이며, 율(律)은 부처님의 행(行)이다.”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계율이 뒷받침 되지 않는 수행은 모래를 쪄서 밥을 지으려는 것과 같으며, 날개 없는 새가 허공을 날려는 것과 같아서 결국 이룰 수 없는 헛된 꿈에 불과한 것이다. 승가의 기능은 그 어느 것보다도 먼저 수행자들의 화합이 우선하며, 교단이 크게 발전하게 되면서 점차로 경계에 의한 다른 요인이 개입되어 여러 변화를 가지게 되었어도, 계율의 가치와 실천의 행위에 대하여 의심을 일으키는 수행자는 없었다.
붓다 당시 불법이 성행하던 인도와, 중국에 전래된 이후의 율장은 환경과 문화 등의 매우 이질적인 요소로 인하여 계율을 실천하던 현실적 측면에서 각각 차이를 보일 수 있었다. 그러나 붓다의 율의 정신은 현재까지 승가의 화합과 발전에 초석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나라의 저명한 법사였던 의정 스님은 자신이 가장 오랜 시간 머물렀고, 당시 인도불교계의 중심이었던 나란타사(那爛陀寺)에서 이 책을 비롯한 유부율 200여 권을 얻은 것으로 추측된다. 의정 스님은 그중 『근본설일체유부필추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苾芻毘奈耶)』 50권은 장안(長安) 3년(703)에 번역하였고,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 20권과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芻毘奈耶雜事)』 40권 등은 경룡(景龍) 4년(710)에 번역하였으며, 기타 법장부(法藏部)의 율장인 『근본살바다부율섭(根本薩婆多部律攝)』과 『근본살바다부니타나목득가(根本薩婆多部尼陀那目得迦)』는 성력(聖歷) 3년(700)에 번역하였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 건도부인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출가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出家事)』 이하의 칠부(七部)인 70~80권은 번역을 완료하였으나 공개하지 않고 입적하였기 때문에 널리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뒤에 『정원록(貞元錄)』(800)에 이르러 목록을 다시 검사하여 7부(部)를 합하여 정리하였으므로 의정 스님에 의하여 역출된 율전(律典)은 『정원록』에 의거하면 모두 18부 209권에 이른다.
이 책을 비롯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는 보살(菩薩)?자리이타(自利利他) 등의 말이 등장하고, 특히 밀교적(密敎的) 요소를 첨가한 다라니 등이 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율장으로서의 본질적인 요소가 아닌 본생담(本生話)?비유담(譬喩談) 등의 교의적 설명 등을 많이 부가하는 등 문학적 요소가 풍부하여, 『사분율』?『십송율』 등의 구율(舊律)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이 율들은 인도 나란타사, 남해 지방의 대승교도(大乘敎徒) 사이에 성행된 율이므로, 『사분율』?『십송율』 등의 여러 율장과 같이 소승률의 형태를 갖추고는 있으나 대승적 영향을 받은 상좌부의 율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승적 교학이 발전되고 밀교의 의궤가 성행하던 시대 흐름에 맞춰 율장에서도 새로운 사상의 정립과 새로운 실천적 요소가 요구되자, 의정 스님이 『십송율』을 기초로 삼아 율장을 집대성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가 의정 스님에 의해 한역된 것은 710년으로, 필추율과 비교하면 그 계율의 계목(戒目)에서 연기 등은 거의 비슷하다. 이 책의 구성은 상좌부 계열의 율장으로서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필추니가 수지하는 바라제목차에 대한 내용으로 8바라시가법(波羅市迦法), 20승가벌시사법(僧伽伐尸沙法), 33니살기바일저가법(泥薩祇波逸底迦法), 180바일저가법(波逸底迦法), 11바라저제사니법(波羅底提舍尼法), 99중학법(衆學法), 7멸쟁법(滅諍法) 등의 358항의 조목을 주석(註釋)하고 있다.
제1권에서는 율장이 삼장(三藏) 중에서 으뜸으로, 계율을 무너뜨리지 않아야 최상의 복락을 얻는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대가섭의 출생과 출가, 세존과의 만남과 수행을 서술함으로써, 대가섭을 통해 부처님 법맥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제2권에서는 여덟 가지의 바라시가법(波羅市迦法) 가운데 음행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고, 제3권에서는 투도, 제4권에서는 살인과 대망어에 대하여, 제5권과 제6권에서는 20승가벌시사법을 설명하고 있다. 제7권부터 제11권까지는 서른세 가지 니살기바일저가법에 대하여, 제12권에서 17권까지는 180바일저가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제17권에서 제19권까지는 필추니의 바라제목차를 해석하고 있으며, 제20권에서는 바일저제사니법과 중학법, 그리고 7멸쟁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는 필추니승가의 율법에 대한 한역서로, 필추니들은 붓다가 제정한 계율 조항을 따라서 실천하여야 수행을 올바르게 닦을 수 있으며, 붓다의 가르침을 널리 펼치는 필수의 조건이 율장인 것을 강조하고 있다. 180부로 이루어진 이 율장이 이번에 첫 번째로 번역되어 출판되니 이의 보급을 통해 율장에 대한 더 깊은 관심과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추천의 글
추천의 글
역자의 말
일러두기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해제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권
비나야서(毘奈耶序)
1. 여덟 가지 바라시가법(波羅市迦法)
1) 부정행학처(不淨行學處) ①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2권
1) 부정행학처 ②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3권
2) 불여취학처(不與取學處)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4권
3) 단인명(斷人命) 학처
4) 망설자득상인법(妄說自得上人法)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5권
5) 마촉(摩觸) 학처
6) 팔사성범(八事成犯) 학처
7) 부장타죄(覆藏他罪) 학처
8) 피거인(被擧人) 학처
2. 스무 가지 승가벌시사법(僧伽伐尸沙法)
1) 매가(媒嫁) 학처
2) 무근방(無根謗) 학처
3) 가근방(假根謗) 학처
4) 공염심남자교역(共染心男子交易)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6권
5) 자언무과(自言無過) 학처
6) 독향속가숙(獨向俗家宿) 학처
7) 독향속가(獨向俗家) 학처
8) 독재도행(獨在道行) 학처
9) 독도하(獨渡河) 학처
10) 도타부녀(度他婦女) 학처
11) 색망인물(索亡人物) 학처
12) 첩작해거(輒作解擧) 학처
13) 불사악견(不捨惡見) 학처
14) 설타유애에(說他有愛?) 학처
15) 잡란주(雜亂住) 학처
16) 권막독주(勸莫獨住) 학처
17) 파승가(破僧伽) 학처
18) 조반파승가(助伴破僧伽)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7권
19) 오가(汚家) 학처
20) 악성위간(惡性違諫) 학처
3. 서른세 가지 니살기바일저가법(泥薩祇波逸底迦法)
1) 유장의불분별(有長衣不分別) 학처
2) 이오의(離五衣)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8권
3) 일월의(一月衣) 학처
4) 여비친필추완고의(與非親苾芻浣故衣)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9권
4) 여비친필추환고의(與非親苾芻浣故衣) 학처 ②
5) 종비친필추취의(從非親苾芻取衣) 학처
6) 종비친거사걸의(從非親居士乞衣) 학처
7) 과량걸의(過量乞衣) 학처
8) 지속인공허여의취걸(知俗人共許與衣就乞) 학처
9) 지속인별허여의취걸(知俗人別許與衣就乞) 학처
10) 과한색의(過限索衣)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0권
11) 착보(捉寶) 학처
12) 출납구리(出納求利) 학처
13) 판매(販賣) 학처
14) 걸발(乞?) 학처
15) 자걸루사비친직사직작의(自乞縷使非親織師織作衣) 학처
16) 권직사(勸織師) 학처
17) 탈의(奪衣) 학처
18) 회중물입기(?衆物入己) 학처
19) 복과칠일약(服過七日藥) 학처
20) 축장발(畜長鉢)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1권
21) 불간오의(不看五衣) 학처
22) 비시사의(非時捨衣) 학처
23) 의시불사갈치나의(依時不捨?恥那衣) 학처
24) 걸금(乞金) 학처
25) 이의염직충식(以衣染直充食) 학처
26) 이별의리충식(以別衣離充食) 학처
27) 이와구리충식(以臥具利充食) 학처
28) 영사안거리충식(營寺安居利充食) 학처
29) 득다인리회입기(得多人利?入己) 학처
30) 득승기리물회입기(得僧祇利物?入己) 학처
31) 매약해계(買藥解繫) 학처
32) 지귀가중의(持貴價重衣) 학처
33) 지귀가경의(持貴價輕衣) 학처
4. 일백여든 가지 바일저가법(波逸底迦法)
1) 고망어(故妄語)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2권
2) 훼자어(毁?語) 학처
3) 이간어(離間語) 학처
4) 발거(發擧) 학처
5) 독여남자설법과오륙어(獨興男子說法過五六語) 학처
6) 여미근원인동구독송(與未近圓人同句讀誦) 학처
7) 향미원구설추죄(向未圓具說?罪) 학처
8) 실득상인법향미원구인설(實得上人法向末圓具人說) 학처
9) 방회중리물(謗?衆利物) 학처
10) 경가계(輕訶戒)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3권
11) 괴생종(壞生種) 학처
12) 염훼경천(嫌毁輕賤) 학처
13) 위뇌언교(違惱言敎) 학처
14) 제노지안승부구(在露地安僧敷具) 학처
15) 불거초부구(不擧草敷具) 학처
16) 강뇌촉타(强惱觸他) 학처
17) 고방신좌와탈각상(故放身坐臥脫脚床) 학처
18) 용충수(用蟲水) 학처
19) 조대사과한(造大寺過限) 학처
20) 과일숙식(過一宿食) 학처
21) 과삼발수식(過三?受食) 학처
22) 족식(足食) 학처
23) 권타족식(勸他足食)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4권
24) 별중식(別衆食) 학처
25) 비시식(非時食) 학처
26) 식증촉식(食曾觸食) 학처
27) 불수식(不受食) 학처
28) 음충수(飮蟲水) 학처
29) 여무의외도남녀식(與無衣外道男女食) 학처
30) 관군(觀軍) 학처
31) 군중과이야숙(軍中過二夜宿) 학처
32) 요란군병(擾亂軍兵) 학처
33) 타필추니(打苾芻尼) 학처
34) 의수향필추니(擬手向苾芻尼) 학처
35) 부장타죄(覆藏他罪) 학처
36) 공지속가불여식(共至俗家不與食) 학처
37) 촉화(觸火)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5권
38) 여욕이갱차(與欲已更遮) 학처
39) 여미근원인동실숙과이야(與未近圓人同室宿過二夜) 학처
40) 불사악견위간(不捨惡見違諫) 학처
41) 수사치인(隨捨置人) 학처
42) 섭수악견불사구적녀(攝受惡見不捨求寂女) 학처
43) 착불괴색의(着不壞色衣) 학처
44) 착보(捉寶) 학처
45) 비시세욕(非時洗浴) 학처
46) 살방생(殺傍生) 학처
47) 고뇌필추니(故惱苾芻尼) 학처
48) 이지격력타(以指擊?他) 학처
49) 수중희(水中戱) 학처
50) 여남자동실숙(與男子同室宿) 학처
51) 공포필추니(恐怖苾芻尼) 학처
52) 장타필추니등의발(藏他苾芻尼等衣?) 학처
53) 이중교죄방청정필추니(以衆敎罪謗淸淨苾芻尼) 학처
54) 여남자동도행(與男子同道行)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6권
55) 여적동행(與賊同行) 학처
56) 괴생지(壞生地) 학처
57) 과사월색식(過四月索食) 학처
58) 차전교(遮傳敎) 학처
59) 묵청투쟁(?聽?諍) 학처
60) 불여욕묵연기거(不與欲?然起去) 학처
61) 불공경(不恭敬) 학처
62) 음주(飮酒) 학처
63) 비시입취락불촉수필추니(非時入聚落不囑授苾芻尼) 학처
64) 수식전식후청(受食前食後請) 학처
65) 입왕궁(入王宮) 학처
66) 사언부지(詐言不知) 학처
67) 작침통(作針筒) 학처
68) 작과량상(作過量床) 학처
69) 용초목면저상(用草木綿貯床) 학처
70) 과량작니사단나(過量作尼師但那) 학처
71) 작부창의(作覆瘡衣) 학처
72) 동불의량작의(同佛衣量作衣)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7권
73) 담산(?蒜) 학처
74) 체은처모(剃隱處毛) 학처
75) 세정불과량(洗淨不過量) 학처
76) 이수박은처(以手拍隱處) 학처
77) 자수자생식(自手煮生食) 학처
78) 수쇄상중(水灑上衆) 학처
79) 생초상대소변(生草上大小便) 학처
80) 이부정기장외(以不淨棄牆外) 학처
81) 독여남자병처립(獨與男子屛處立) 학처
82) 독여필추병처림(獨與苾芻屛處立) 학처
83) 독여남자노처림(獨與男子露處立) 학처
84) 독여필추노처립(獨與苾芻露處立) 학처
85) 독주일방(獨住一房) 학처
86) 공남자이어(共男子耳語) 학처
87) 수남자이어(受男子耳語) 학처
88) 공필추이어(共苾芻耳語) 학처
89) 수필추이어(受苾芻耳語) 학처
90) 추흉(椎胸) 학처
91) 주서(呪誓) 학처
92) 불관힐타(不觀詰他) 학처
93) 불관상좌좌와(不觀床座坐臥) 학처
94) 이수교작생지(以樹膠作生支) 학처
95) 백의가설법부촉수와구(白衣家說法不囑授臥具) 학처
96) 미허첩좌(未許輒坐) 학처
97) 불문주인철숙(不問主人輒宿)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8권
98) 지니선재백의가후령타거(知尼先在白衣家後令他去) 학처
99) 제자유병불첨시(弟子有病不瞻視) 학처
100) 이니동일상와(二尼同一床臥) 학처
101) 안거미수의유행(安居未隨意遊行) 학처
102) 안거만볼유행(安居滿不遊行) 학처
103) 지유포유행(知有怖遊行) 학처
104) 지유호랑사자유행(知有虎狼師子遊行) 학처
105) 왕천사논의(往天祠論議) 학처
106) 연미만여타출가수근원(年未滿與他出家授近圓) 학처
107) 첩축제가(輒畜弟子) 학처
108) 지증가여인연미만십이여출가(知曾嫁女人年未滿十二與出家) 학처
109) 연만십이불여정학법수근원(年滿十二不與正學法授近圓) 학처
110) 첩다축중(輒多畜衆) 학처
111) 여유신녀(與有娠女) 학처
112) 불교계(不敎誡) 학처
113) 불섭호(不攝護) 학처
114) 부장수신(不將隨身) 학처
115) 동녀연미만이십수근원(童女年未滿二十受近圓) 학처
116) 불수육학법수근원(不授六學法授近圓) 학처
117) 도악성여인(度惡性女人) 학처
118) 도다우여인(度多憂女人) 학처
119) 학법미만여수근원(學法未滿與受近圓) 학처
120) 지학법료불여수근원(知學法了不與受近圓) 학처
121) 부미방도출가(夫未放度出家) 학처
122) 종색의(從索衣) 학처
123) 영타여인수렴가업(令他女人收斂家業) 학처
124) 매년여출가수근원(每年與出家受近圓)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9권
125) 경숙여욕(經宿與欲) 학처
126) 구교수(求敎授) 학처
127) 무필추처작장정(無苾芻處作長淨) 학처
128) 무필추처작안거(無苾芻處作安居) 학처
129) 불어이부중삼사작수의(不於二部衆三事作隨意) 학처
130) 책중(責衆) 학처
131) 매중(罵衆) 학처
132) 견타찬예기질투심(見他讚譽起嫉?心) 학처
133) 어가간(於家?) 학처
134) 어사간(於寺?) 학처
135) 어이양음식간(於利養飮食?) 학처
136) 간법(?法) 학처
137) 식경갱식(食竟更食) 학처
138) 양타해아(養他孩兒) 학처
139) 불축세군(不畜洗裙) 학처
140) 영완의인세의(令浣衣人洗衣) 학처
141) 공상중환의(共上衆換衣) 학처
142) 첩여속인의(輒與俗人衣) 학처
143) 불축병의(不畜病衣) 학처
144) 대중병의사용(大衆病衣私用) 학처
145) 종빈걸갈치나의(從貧乞?恥那衣) 학처
146) 불공출의(不共出衣) 학처
147) 불공분의(不共分衣) 학처
148) 견투불권지식(見?不勸止息) 학처
149) 기주처불촉수(棄住處不囑授) 학처
150) 종속인수주(從俗人受呪) 학처
151) 교속인주법(敎俗人呪法) 학처
152) 매구식(賣?食) 학처
153) 영속가무(營俗家務) 학처
154) 이전좌상(移轉座床) 학처
155) 자수연루(自手撚縷) 학처
156) 자직락(自織絡) 학처
157) 지개행(持蓋行) 학처
158) 착채색혜리(着彩色鞋履) 학처
159) 유창령수해계(有瘡令數解繫) 학처
160) 도음녀(度?女) 학처
161) 사필추니개신(使苾芻尼?身) 학처
162, 163, 164, 165) 사정학녀등개신(使正學女等?身) 학처
166, 167) 이향도신수(以香塗身首) 학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20권
168) 이호마재급수개신(以胡麻滓及水?身) 학처
169) 선미용허첩문(先未容許輒問) 학처
170) 착속장엄구(着俗莊嚴具) 학처
171) 상견세욕(相牽洗浴) 학처
172) 자무교타무(自舞敎他舞) 학처
173) 창가(唱歌) 학처
174) 작락(作樂) 학처
175) 독어공택대소변(獨於空宅大小便) 학처
176) 숙향초쇄(畜香草刷) 학처
177) 축세비(畜細枇) 학처
178) 축추소(畜?梳) 학처
179) 용전삼사(用前三事) 학처
180) 축가계장구(畜假?莊具) 학처

5. 바라저제사니법(波羅底提舍尼法)

6. 중학법(衆學法)

7. 일곱 가지 멸쟁법(滅諍法)

[저자소개]
저자 : 당나라 의정 (한역)
한역자 당나라 의정 스님(635~713)은 당 태종때 중국 범양(范陽) 출생으로, 토굴사에서 출가했으며, 37세에 서역으로 구법행을 떠나 25년간 인도 나란타사에서 수학 및 중앙아시아 불교국들을 순례한 뒤 695년 50만송의 불전과 사리 300과를 가지고 중국으로 돌아왔다. 근본불교 설일체유부의 율장 180권과 법장부 율섭 14권 등을 번역, 삼장법사로 받들어졌다.

저자 : 보운 스님(국역)
국역자 보운 스님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에서 출가
중앙승가대학교 문학박사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 성보박물관장, 신륵사 거사림회 지도법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과 계율학 강사
논문으로 ?한국의 관음신앙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등 다수
번역서로 ?십송율? 61권, 율장의 주석서인 ?살바다부비니마득륵가? 10권, ?살바다비니비바사? 9권, ?안락집?(상?하) 등이 있다.

 

  •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4,000원
  • 배송 기간 : 2일 ~ 5일
  • 배송 안내 : ...◐ 빠른 배송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주문제작 및 인쇄건은 배송기간이 각각 다르오니 전화문의 바랍니다.
    ...◐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REVIEW

    구매하신 상품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모두 보기

    Q&A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문의해 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